본문 바로가기
온라인쇼핑몰 강의시리즈

스마트 스토어 수수료 변경의 진짜 의미와 실체

by mean 2022. 1. 8.
반응형

 

 

지난 2021.07.31부터 네이버 쇼핑 수수료에 대한 변경이 있었습니다. 그 당시 단지 표로만 봤을 때는 큰 차이가 없었고 오히려 수수료 부과 체계가 단순해져 수수료 계산이 더 편해졌다는 의견도 있었죠 실제 어떤 블로거는 수수료가 낮아졌다?라는 말까지 하더군요. 실제 판매자 입장에서 변경 시점 전후 수수료에 대한 결과와 진짜 의미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수수료 변경 내역

기존의 복잡한 수수료 체계를 이번에 모든 결제수단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보기에는 매우 깔끔합니다.

변경전(부가세포함) 변경후(모든 결제수단에 적용)(부가세포함)
*신용카드/ 체크카드
- 영세 : 2.2%
- 중소1 : 2.75%
- 중소2 : 2.86%
- 중소3 : 3.08%
- 일반 : 3.74%

*포인트/후불결제
- 적립포인트 : 3.74%
- 충전포인트 : 3.74%
- 후불결제 : 3.74%

*계좌이체 : 1.65%
*무통장입금(가상계좌) : 1% 최대 275원
*휴대폰 결재 : 3.75%

- 네이버 쇼핑 매출연동 수수료 2% 별도(부가세 포함)
- 영세 : 2.2%
- 중소1 : 2.75%
- 중소2 : 2.86%
- 중소3 : 3.08%
- 일반 : 3.63%


- 네이버 쇼핑 매출연동 수수료 2% 별도(부가세 포함)
  • 매출 등급 기준 : 국세청 신고된 기업의 총 연매출 (1월,7월 재산 출) 
    • 영세 : ~ 3억
    • 중소1 : 3~5억
    • 중소 2 : 5~10억
    • 중소 3 : 10 ~ 30억
    • 일반 : 해당하는 자료는 못 찾았으나 제일 높은 것으로 보아 30억 이상으로 판단됨

변경 시점 전후 10개월 평균수수료

스마트 스토어 수수료 확인은 아래 경로를 통해 확인이가능합니다.

스마트스토어 판매자 홈> 정산관리 > 정산내역 > 나의수수료

 

참고로 저의 판매 등급은 중소 3(연매출 10~30억)입니다.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88% 2.88% 2.97% 2.94% 2.95% 3.05% 3.08% 3.08% 3.07% 3.08%

다소 깔끔해진 정산 체계라고 하지만 결국은 평균 0.15% 인상된 수수료 체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계좌이체, 무통장입금이 상당히 있다는 의미이며 특히 계좌이체를 많이 이용하는 관공서나 회사를 상대로 하는 상점의 경우 무시 못할 수수료 출혈이 있었겠네요.(제 친한 지인의 경우 평균 2% 이하였습니다.)

어떤 브런치 글에서는 오히려 수수료가 줄어서 좋아졌다는 잘못된 정보를 올려놨더군요.

 

스마트 스토어 수수료 변경의 진짜 의미

얼듯 볼 때 일반 판매자(30억 이상)는 수수료가 낮아져 좋아진 건가? 싶지만 연매출 30억 넘는 판매자는 그렇게 많지 않고 대부분 판매한다는 사업자는 중소 2~3구간에 걸쳐 있습니다. 결국 판매 수수료는 소소하지만 인상되었다고 봐야겠습니다. 물론 다른 오픈마켓에 비하면 평균 0.15% 인상은 안 올린 것과 진배없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업계 1위 네이버의 입장에서는 어떤 의미일까요?

  • 2020년 기준 연간 스마트 스토어 거래액 17조 
  • 2020년 기준 연간 네이버 이커머스 거래액 28조(네이버 페이 연동된 사이트, 플레이스 등등 일체 포함)

이번 인상으로 인한 연간 추가 수익(예상)

28조 *0.15% = 420억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스토어(네이버 페이) 수수료는 업계 최저라는 건 논란의 여지는 없습니다. 또한 업계 유일 "익일 100% 빠른 정산"이라는 유래 없는 혁신이죠. 스토어팜 시절부터 지금까지 제가 느껴온 네이버는 판매자 친화 플랫폼이라는 건 이견이 없습니다. 또한 지금까지도 너무 고맙고 감사한 판매채널입니다. 하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수수료 변경에 따른 진짜 의미는 실제 우리의 마진과 영향이 있는 것이니 반드시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